현대 엑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엑셀은 1985년 2월에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소형차로, 2세대 미쓰비시 미라주를 기반으로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했다. 3도어 또는 5도어 해치백, 4도어 세단 모델로 판매되었으며, 미국 수출 최초의 현대자동차였다. 1985년 1세대 모델 출시 이후 1989년 2세대로 변경되었으며, 1994년 후속 차종인 엑센트가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엑셀은 미국 시장에서는 미쓰비시 프레시스, 유럽 시장에서는 포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1985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쏘나타
현대 쏘나타는 1985년 출시 이후 전륜구동 방식으로 전환,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하며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형 베스트셀링카이다. - 1985년 도입된 자동차 - 혼다 레전드
혼다 레전드는 1985년부터 2022년까지 혼다에서 생산된 고급 세단으로, 안전성 강조, SH-AWD 사륜구동 시스템 도입, 혼다 센싱 엘리트 탑재 등 다양한 변화를 거쳤으며 북미 시장에서는 아큐라 브랜드로 판매되기도 했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현대 엑셀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현대 엑셀 | |
![]() | |
제조사 | 현대 |
다른 이름 | 현대 포니 현대 포니 엑셀 (대한민국 X1 해치백) 현대 프레스토 (대한민국 X1 세단) 미쓰비시 프리시스 현대 X2 (영국) 현대 XL (일본) |
생산 기간 | 1985년–1999년 |
차종 | 소형차 (B) |
레이아웃 | FF 레이아웃 |
관련 차종 | 현대 스쿠프 미쓰비시 미라주 |
이전 모델 | 현대 포니 |
후속 모델 | 현대 액센트 |
2. 역사
wikitext
- 1985년 2월 : 1세대 포니 엑셀(5도어) 시판[16][17][18]
- 1985년 7월 : 프레스토(4도어) 시판[19]
- 1986년 9월 : 차명이 '''포니 엑셀'''에서 '''엑셀'''로 변경, 미국 판매형 엑셀 AMX, 프레스토 AMX 시판, 엑셀 스포트(3도어) 시판(이후 엑셀 스포티로 차명 변경)[13][14]
- 1987년 2월 : 선루프와 ETR 카오디오를 장착한 프레스토 시판
- 1987년 7월 : 대한민국의 무연 휘발유 공급에 따른 대한민국 내의 무연 휘발유 사양 시판(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장착되었으며, 엔진의 재질과 코팅이 유연 휘발유 사양과는 다름). (기아 프라이드, 대우 르망도 동일하며, 이후 유연 휘발유 사양 단종)
- 1987년 11월 : 엑셀 스포티 단종
- 1988년 7월 : 100만 대 생산 돌파[20]
- 1989년 4월 : 2세대 엑셀 시판
- 1989년 8월 : 엑셀 TRX(Top Range eXcel) 시판
- 1990년 1월 : 엑셀 3도어, 5도어 해치백 시판
- 1990년 : 영업용 택시 생산, 판매 개시
- 1990년 11월 : 라디에이터 그릴, 휠 커버 등이 바뀐 이어 모델 시판
- 1991년 2월 : 최하위 그레이드 엑셀 Rs 시판
- 1991년 5월 : 페이스 리프트된 뉴 엑셀 골드 시판
- 1991년 7월 : 뉴 엑셀 3도어, 5도어 해치백 시판, 200만대 생산 돌파[21]
- 1991년 8월 : 이어 모델 출시
- 1991년 9월 : 엑셀 밴 시판
- 1992년 10월 : 창사 25주년 기념 엑셀 골드 스페셜 팩 시판 (9,000대 한정 시판)
- 1993년 7월 : 엑셀 4도어 1.3 GLSi, 5도어 1.5 GSli 시판
- 1994년 4월 : 후속 차종인 엑센트 출시, 당분간 엑센트와 병행 생산으로 각각 재편되어 가격을 낮추어 단종될 때까지 저가형 소형차로 생산
- 1994년 7월 : 단종
엑셀은 2세대 미쓰비시 미라주를 기반으로 했지만,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독자적인 외관 디자인을 적용했다.[2] 3도어 또는 5도어 해치백과 4도어 세단 모델로 출시되었다.[3] 미국으로 수출된 최초의 현대자동차였다.
엑셀은 시장과 모델 연식에 따라 카뷰레터 또는 연료 분사 시스템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4기통 엔진에 수동 또는 자동 변속기가 장착되었다.
원래 엑셀은 1990년에 엘란트라로 교체될 예정이었지만, 1995년 모델 연식에 엑센트로 교체될 때까지 4년 더 판매되었다. 1990년부터 쿠페 변형 모델인 스쿠프가 출시되었으며, 1996년에 쿠페로 교체되었다.
2. 1. 1세대 (X) (1985년 ~ 1989년)
1985년 2월 8일에 기존 포니의 차명을 계승하며, '뛰어난 포니'라는 의미를 가진 포니 엑셀로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에서 만들어진 승용차로는 최초로 전륜구동 방식이었고, 보닛의 열리는 방향이 다른 승용차와는 반대 방향이었다. 소형차로는 당시 고급 사양이던 타코미터[16] 및 오토 리버스 카 스테레오[17]와 디지털 전자 시계[18]가 장착되었고, 계기판에 도어가 열린 상태를 위치별로 파악할 수 있는 경고등을 기본으로 두었으며, 에어컨은 옵션이었다. 출시 당시에는 1.3 FX, 1.5 FX, 1.5 SUPER 등 3가지 트림이 있었다. 같은 해 7월 8일에는 5도어 해치백인 엑셀을 기반으로 만든 4도어 세단인 프레스토가 출시되었다. 1986년 1월에 현대자동차는 미국에 진출하며, 포니 엑셀과 프레스토를 엑셀이라는 차명으로 판매하였다.[19] 미국 진출 첫 해에만 168,000여 대를 팔았을 만큼 큰 인기를 누렸으나, 잦은 고장과 열악한 사후 처리로 인해서 반짝하던 인기는 식어 판매가 감소하였고, 현대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도 추락하였다. 1986년 9월에는 미국 판매 사양과 비슷한 AMX 트림이 추가됨과 동시에 포니 엑셀의 차명이 엑셀로 변경되었고, 3도어 해치백인 엑셀 스포트(이후 엑셀 스포티로 차명이 변경됨)가 선보였다. 3도어 해치백(엑셀 스포티)은 미쓰비시자동차공업에 OEM 공급되어 미국에서는 프레시스라는 차명으로도 판매되었다. 1988년 7월에는 프레스토를 포함해 생산 100만 대를 돌파하였다.[20]

2. 1. 1. 포니 엑셀/엑셀 (1985년 2월 ~ 1989년 4월)
1985년 2월 8일에 기존 포니의 차명을 계승하며, '뛰어난 포니'라는 의미를 가진 포니 엑셀로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에서 만들어진 승용차로는 최초로 전륜구동 방식이었고, 보닛의 열리는 방향이 다른 승용차와는 반대 방향이었다. 소형차로는 당시 고급 사양이던 타코미터[16] 및 오토 리버스 카 스테레오[17]와 디지털 전자 시계[18]가 장착되었고, 계기판에 도어가 열린 상태를 위치별로 파악할 수 있는 경고등을 기본으로 두었으며, 에어컨은 옵션이었다. 출시 당시에는 1.3 FX, 1.5 FX, 1.5 SUPER 등 3가지 트림이 있었다. 같은 해 7월 8일에는 5도어 해치백인 엑셀을 기반으로 만든 4도어 세단인 프레스토가 출시되었다. 1986년 1월에 현대자동차는 미국에 진출하며, 포니 엑셀과 프레스토를 엑셀이라는 차명으로 판매하였다.[19] 미국 진출 첫 해에만 168,000여 대를 팔았을 만큼 큰 인기를 누렸으나, 잦은 고장과 열악한 사후 처리로 인해서 반짝하던 인기는 식어 판매가 감소하였고, 현대자동차에 대한 이미지도 추락하였다. 1986년 9월에는 미국 판매 사양과 비슷한 AMX 트림이 추가됨과 동시에 포니 엑셀의 차명이 엑셀로 변경되었고, 3도어 해치백인 엑셀 스포트(이후 엑셀 스포티로 차명이 변경됨)가 선보였다. 3도어 해치백(엑셀 스포티)은 미쓰비시자동차공업에 OEM 공급되어 미국에서는 프레시스라는 차명으로도 판매되었다. 1988년 7월에는 프레스토를 포함해 생산 100만 대를 돌파하였다.[20]2. 1. 2. 프레스토 (1985년 7월 ~ 1989년 4월)
1985년 2월, 현대자동차는 5도어 해치백 모델인 포니 엑셀을 출시하였다. 같은 해 7월에는 4도어 세단 모델을 추가하였으며, 이 모델의 한국 내 이름은 '''프레스토'''였다.[13][14] 프레스토는 포니 엑셀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미국 시장에는 엑셀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1986년 1월, 현대자동차는 엑셀을 미국에 수출하며 미국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하였다. 이는 현대자동차가 이전에 포니를 미국 배기가스 규제 문제로 판매하지 못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1987년부터는 미국의 미쓰비시 판매망을 통해 '''미쓰비시 프레시스'''(Mitsubishi Precis)라는 이름으로도 판매되었으며, 이는 1994년까지 이어졌다.
1986년 9월에는 3도어 해치백 모델인 엑셀 스포티가 추가되었다.[13][14] 이와 함께 5도어 모델의 한국 내 이름은 포니 엑셀에서 엑셀로 변경되었다.
2. 1. 3. 엑셀 스포티 (1986년 9월 ~ 1987년 11월)
1986년 9월에 3도어 해치백 모델이 추가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엑셀 스포티[13][14]라고 불렸으며, 스포티한 디자인을 강조했다. 엑셀은 미쓰비시 자동차를 통해 마크 변경된 '''미쓰비시 프레시스'''라는 이름으로 미국 시장에 OEM 방식으로 판매되었다.[4]
2. 2. 2세대 (X2) (1989년 ~ 1994년)
wikitext

1989년 4월 6일에 1세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2세대 엑셀이 선보였다. 세단 모델도 프레스토에서 엑셀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당시 아역 배우 김민정이 출연한 광고는 큰 화제가 되었다. 엘란트라, 쏘나타(Y2), 스쿠프 등과 패밀리 룩을 이루었으며, 특히 쏘나타(Y2)와 닮은 디자인으로 인해 '리틀 쏘나타'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엔진은 1세대 엑셀과 프레스토의 것을 개량하였으나, 카뷰레터 방식 외에 MPI(Multi Point Injection) 방식을 채택하여 성능이 향상되었다. 시트 벨트 착용 경고 장치와 키 알림 경고 장치에 차임 벨이 적용되었다. 2세대 엑셀 3도어 해치백은 미쓰비시자동차공업에 OEM 방식으로 공급되어 프레시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1990년에는 영업용 택시가 판매되었으나, 수요는 많지 않았다. 영업용 택시는 수동변속기(4단, 5단)만 있었다.
thumb
1991년 5월 7일에는 페이스 리프트를 거친 뉴 엑셀이 선보였다. 새로운 엠블렘이 적용되었다.


같은 해 7월에는 프레스토를 포함하여 누적 생산이 200만 대를 돌파하였고,[21] 9월에는 3도어 해치백에 뒷좌석을 없앤 밴 모델이 출시되었다. 1994년 4월에 현대 엑센트가 출시되었지만, 엑셀은 저가형 소형차로 판매되며 현대 엑센트와 병행 생산되었다. 엑셀의 기존 트림은 엑센트의 하위 트림으로 흡수, 재편되었고, 같은 해 7월에 단종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등에서는 엑센트(X3)가 엑셀이라는 이름으로, 프랑스에서는 엑센트(X3)가 포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1세대 엑셀에 비해 품질과 성능이 개선되었으나, 대한민국 외의 국가에서는 판매 부진을 겪었다.
2. 2. 1. 엑셀 (1989년 4월 ~ 1991년 5월)
1989년 4월 6일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2세대 엑셀이 선보였다. 세단도 프레스토에서 엑셀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당시 아역 배우 김민정이 출연한 광고는 화제가 되기도 했다. 더불어 당시 같이 판매되던 엘란트라, 쏘나타(Y2), 스쿠프 등과도 닮아 나름대로의 패밀리 룩을 형성하였다. 특히 쏘나타(Y2)와 닮은 디자인으로 인해 '리틀 쏘나타'라는 별명이 있기도 했다. 엔진은 1세대 엑셀과 프레스토의 것을 개량하였으나, 카뷰레터 연료 흡입 방식인 FBC(Feed Back Caburator) 방식 외에도 연료 다중 분사 방식인 MPI(Multi Point Injection) 방식을 채택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시트 벨트 착용 경고 장치에 차임 벨이 적용되어 안전 운전에 만전을 기하였으며, 시동 키를 꽃아놓은 채 운전석 도어가 열리면 차임 벨이 작동됨으로써 키가 있음을 알리는 경고 장치도 있었다. 1세대 엑셀처럼 2세대 엑셀 역시 3도어 해치백은 미쓰비시자동차공업에 OEM 공급되어 프레시스라는 차명으로도 판매되었다. 1990년에는 영업용 택시가 판매되었으나 수요는 많지 않았다. 영업용 택시는 오직 수동변속기(4단,5단)만 있었다.
thumb
2. 2. 2. 뉴 엑셀 (1991년 5월 ~ 1994년 7월)
1991년 5월 7일에는 페이스 리프트를 거친 뉴 엑셀이 선보였다. 이 시점부터 새로운 엠블렘이 적용되었다.같은 해 7월에는 프레스토를 포함하여 누적 생산이 200만 대를 돌파하였고,[21] 9월에는 3도어 해치백에 뒷좌석을 없애고 화물 칸이 확장된 밴이 출시되었다. 1994년 4월에 현대 엑센트가 나왔지만 현대 엑센트와 병행 생산하되 고급 트림을 없앴으며, 각각 재편되어 가격을 낮추어 단종될 때까지 엑센트로 이관되어, 저가형 소형차로 기존 1.3,1.5 L 트림은 ES, GL 트림은 엑센트 MULTI로, 최상급 중 GLSI 트림은 엑센트 RS, TRX 트림은 엑센트 CS 로 각각 재편되어 가격을 낮추어 단종될 때까지 고급 트림을 없애고, 기존 저가형 소형차로 같은 해 7월에 단종되었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등지에서는 여전히 엑센트(X3)가 엑셀이라는 차명으로 판매되었으며, 프랑스에서는 엑센트(X3)가 포니라는 차명으로 판매되었다. 1세대 엑셀에 비해 품질면에서나 성능면에서 크게 개선되었으나, 기존의 이미지로 인해 대한민국 외의 국가에서는 부진한 판매를 보였다.
3. 해외 시장
현대 엑셀은 1987년 봄부터 미쓰비시 자동차를 통해 마크 변경된 '''미쓰비시 프레시스'''라는 이름으로 미국 시장에서 판매되었다.[4] 미쓰비시는 자발적 수입 할당량을 우회하기 위해 프레시스를 판매했다.[5] 프레시스는 엑셀 및 미라지 등과 동일한 1.5리터 미쓰비시 4기통 엔진을 탑재했다.[6] 1994년에 단종되었다.[5]
유라시아 지역에서는 현대 포니 또는 포니 X2(X2는 2세대를 의미)로 판매되었다. 영국과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1.3 S, 1.3 소넷, 1.3 LS, 1.5 GSi 등의 트림으로 판매되었으나,[15] 일부 유럽 시장에서는 1.5 L, 1.5 LE, 1.5 GL, 1.5 LS, 1.5 GS, 1.5 GT, 1.5 GLS 등 1.3 버전이 판매되지 않았다. 1989년 유럽 시장의 포니와 엑셀 라인업은 가장 광범위했지만, 모든 모델이 모든 시장에서 판매된 것은 아니었다.
일본에서는 미쓰비시상사(三菱商事)가 1988년 서울올림픽(ソウルオリンピック)을 기념하여 150대 한정으로 수입하여 미쓰비시 카플라자점(三菱カープラザ店)에서 '''현대 XL'''(ヒュンダイXL)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했다.[15]
4. 기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념하여 일본에서 150대 한정으로 '현대 XL'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15] 차량 형식은 "E-LA31J"이다. 미국에서는 미쓰비시자동차의 판매 채널을 통해 '미쓰비시 프레시스'(Mitsubishi Precis)로 판매되었으며, 후면에는 '''"IMPORTED BY MITSUBISHI MOTOR SALES OF AMERICA INC."'''라고 적혀 있었다. 엑셀은 1세대 엑센트의 호주명이기도 하다. 반면, 해당 엑셀이 이전 모델인 "포니"(ポニー)라는 이름으로 판매된 지역도 존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YUNDAI RANGE 1992-93 UK Mkt sales brochure - HCD-1 Scoupe Lantra X2 Sonata
https://web.archive.[...]
[2]
잡지
Hyundai Excel GL
http://www.caranddri[...]
Hearst Autos, Inc.
1986-03-01
[3]
웹사이트
Hyundai Excel The Car Directory
https://web.archive.[...]
The-car-directory.com
2007-12-27
[4]
서적
Ward's Automotive Yearbook 1987
Ward's Communications, Inc
1987
[5]
웹사이트
1990-94 Mitsubishi Precis Prices & Review
https://web.archive.[...]
Auto.consumerguide.com
2006-10-04
[6]
서적
Ward's Automotive Yearbook 1987
[7]
brochure
1988 Precis: Imported by Mitsubishi
Mitsubishi Motor Sales of America Inc.
1987
[8]
뉴스
Ssay it with SSUVs: Korea's SSangyong goes where the buyers are – sport/utility vehicles
http://findarticles.[...]
Ward's Auto World
1996-04-01
[9]
뉴스
Hyundai plays its Sonata
https://trove.nla.go[...]
1989-03-10
[10]
Youtube
Hyundai EXCEL van 1991 commercial 현대 엑셀 밴
https://www.youtube.[...]
2017-02-13
[11]
웹사이트
Project: Excel (Pony hatchback) - 1985
https://www.italdesi[...]
이탈디자인
2020-10-26
[12]
웹사이트
Before N - 스쿠프 #1 (Before N - スクープ #1)
https://www.hyundai.[...]
현대자동차
2020-10-29
[13]
웹사이트
1986 Pony Excel Sporty
https://www.hyundai.[...]
현대자동차
2020-10-26
[14]
문서
엑셀 스포트
[15]
문서
닛산 자동차 Excel
[16]
문서
분당 엔진 회전수
[17]
문서
테이프 자동 반대면 재생 기능
[18]
문서
포니 엑셀, 프레스토 카 스테레오 위치
[19]
뉴스
국산거 미에 첫 수출
http://newslibrary.n[...]
1986-01-20
[20]
뉴스
엑셀·프레스토 생산 최초 1백만대 돌파
http://newslibrary.n[...]
1988-07-08
[21]
뉴스
현대 엑셀 승용차 200만 대 생산 돌파
http://newslibrary.n[...]
1991-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